과거 모습 - 한국사

영어 한국사: The early stages of Korean slavery up to the 1100s-5

마셜 2025. 2. 6. 08:00
728x90
반응형

(출처: Cambridge University Press)

 

 

 

Yet, slavery was not so extensive that it defined ancient Korean society. The ancient times in Korean histor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Three Kingdoms (-668) and the Unified Silla periods (668-900).

 

 

해석 

 

그렇지만, 노예제도가 고대 한국사회를 정의할 정도로 그렇게 널리 퍼져있던 아니다. 한국사의 고대시기는 크게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로 나눌 수 있다. 

 

 

 

한 마디

 

  이제는 실패한 이념의 대명사가 되었지만, 역사의 시대구분을 정립했다는 것에서 여전히 맑시즘은 알아둘 필요가 있다. 맑시즘의 시대 구분에 있어서, 한국 고대 시대가 고대노예제 사회에 해당하는 지는 그래서 중요했을 수 있다.... 그런 시절이 있었을 것이고, 그것을 정확히 반증한 건 여전히 중요하다. 

 

 '영어논문 한국사'는 'The Cambidge world history of slavery' 중 한국의 노비 제도 변천을 다룬 'The early stages of Korean slavery up to the 1100s'을 번역해가며 공부한 과정을 기록한 것입니다. 긴 시대에 걸친 변천사를 훌륭하게 요약한 글을 한 문장씩 발췌해가며 공부하고자 포스팅한 것이며, 많은 분들이 원문을 접하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