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식품소비 트렌드 모니터 결과로 제출한 것입니다. 1. 현장 농민과의 대화: 카무트는 쌀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 가. 경기도 포천에서 대규모 벼농사를 짓는 지인은 여러모로 작물다각화를 늘 고민한다. 상대적으로 농촌에서 젊은 농민이기도 하고, 수매가 있다지만 수익이 뻔한 쌀에만 의존하기에는 미래가 어둡기에 젊은 농민들끼리 대규모 논(밭)을 활용할 수 있는 고소득 작물에 대하 고민을 나누는 것은 극히 당연한 일이다. 나. 그런 지인이 우연찮게 생소한 작물 이름을 거론했기에 기억에 많이 남았다. 흔히 호라산밀(Khorasan Wheat)과 혼용되어 쓰이는 카무트(Kamut)인데, 아직은 대규모로 국내 생산이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지만, 젊은이들에게 반응이 좋기에 고소득 작물로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