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모습 - 한국사

영어 한국사: The early stages of Korean slavery up to the 1100s-11

마셜 2025. 5. 23. 09:41
728x90
반응형

(출처: Cambridge   University Press)

 The number of slaves increased somewhat as Unified Silla began to decline around the turn of the tenth century, giving rise to roughly thirty years of war over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mbitious generals and semi-independent local powers began to enslave commoners in order to secure the labor force for both military and economic use necessary to As expand their powers. the civil war to made it difficult guarantee protection by the state, some impoverished commoners resorted to voluntary slavery as a way to secure their livelihood.

 

해석

 

 10세기 전후 통일신라가 쇠퇴하기 시작하면서 노비의 수는 다소 증가하였다. 이 시기 한반도의 재통일을 둘러싼 약 30여 년 간의 전쟁이 전개되었다. 이 과정에서 야심 있는 군벌들과 반독립적인 지방 세력들은 세력 확장을 위한, 병력 확보와 경제적 기반 강화를 위해 일반 양민을 노비로 삼기 시작하였다. 내란이 지속되면서 국왕 권위에 기반한 국가적 보호가 어려워지자, 일부 가난한 양민들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스스로 노비가 되기도 하였다.

 

  • commoner  - 평민, 일반민중
  • impoverish - 가난하게 만들다

 

한 마디

 

 고대에서 근대로 오는 긴 역사에서 국가가 혼란에 빠지면, 여러 이유로 양민이 노비(노예)가 되는 수가 늘어나고,  납세와 부역을 담당해야할 양민이 줄어들면 국가 근간은 흔들린다. 통일신라에서 후삼국을 거쳐 가는 이 시기도 노비 증가라는 양태에서 있어서는 같은 현상을 보였음을 짧게 잘 요약하고 있다. 

 

'영어논문 한국사'는 'The Cambidge world history of slavery' 중 한국의 노비 제도 변천을 다룬 'The early stages of Korean slavery up to the 1100s'을 번역해가며 공부한 과정을 기록한 것입니다. 긴 시대에 걸친 변천사를 훌륭하게 요약한 글을 한 문장씩 발췌해가며 공부하고자 포스팅한 것이며, 많은 분들이 원문을 접하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