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

요아정의 폭발적 성장은 2025년 여름에도 이어질 것인가?

이 글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식품소비 트렌드 모니터 결과로 제출한 것입니다. 1. 폭발적 성장으로 여름 디저트 시장의 판도를 바꾼 요아정(YOAJUNG) 가. 여름이 돌아왔다. 6월말 이미 폭염이라는 말이 어색하지 않을 정도로 고온다습한 이어지고 있는 2025년 여름, ‘요아정’이라는 브랜드가 계속해서 성장가도를 달릴 수 있을지, 그리고 관련하여 여름 디저트 시장 판도는 어떻게 변화할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나. 뉴시스 보도(2025.05.17.)(‘'요아정'이 뭐길래…삼화 인수 후 1년새 영업익 40배 급증 "디저트 열풍")(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513_0003173364)에 요아정의 영업이익은 2023년 3억원에서 2024년 121억원으로 폭발적으로..

카무트 한국 곡물소비 트렌드를 바꿀 것인가?

이 글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식품소비 트렌드 모니터 결과로 제출한 것입니다. 1. 현장 농민과의 대화: 카무트는 쌀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 가. 경기도 포천에서 대규모 벼농사를 짓는 지인은 여러모로 작물다각화를 늘 고민한다. 상대적으로 농촌에서 젊은 농민이기도 하고, 수매가 있다지만 수익이 뻔한 쌀에만 의존하기에는 미래가 어둡기에 젊은 농민들끼리 대규모 논(밭)을 활용할 수 있는 고소득 작물에 대하 고민을 나누는 것은 극히 당연한 일이다. 나. 그런 지인이 우연찮게 생소한 작물 이름을 거론했기에 기억에 많이 남았다. 흔히 호라산밀(Khorasan Wheat)과 혼용되어 쓰이는 카무트(Kamut)인데, 아직은 대규모로 국내 생산이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지만, 젊은이들에게 반응이 좋기에 고소득 작물로 가능..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