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연구의 원동력(혹은 에너지)은 '역사의식'이라 할지라도, 연구는 최소한의 1차 사료와 환경이 전제되어야 가능하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식민지 시기부터 해방까지 이어지는 시대, 1세대 학자들의 한국사 연구, 특히 조선사 연구가 얼마나 힘든 상황에서 진행되었을지는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특히, 일본의 식민지배 시기, 조선의 역사가들은 강박적으로 조선민족은 정체되지 않았으며, 역사발전 법칙에 따라 발전해 왔음을 시대상황에 따라 주장할 수밖에 없었다. 그 시절 1세대 역사가들의 노고를 충분히 인정하고, 그 성과를 감사하게 받아들인다 해도, 조선(혹은 해방 직후 한국)과 일본의 역사가들은 모두 이 문제에 대해서 객관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그런 면에서 제3자 입장에서 한반도의 역사를 바라본 외국 역사가..